
전북특별자치도가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반 산업 전환을 통한 신산업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서기로 했군요.
전라북도는 생성형 AI 시대 도래에 발맞춰 △AI·데이터 산업 육성 전략 및 디지털 인프라 확충 △농생명, 모빌리티 등 주력산업과 AI 결합 △AI 디지털 전문인재 양성 등 3개 분야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예요.
AI·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조례'와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조례'를 제정하고, 위원회를 구성해 발족을 준비하고 있죠. 전북연구원과 협력해 '전북 AI산업 육성방향 연구'를 진행하면서 올해 하반기까지 종합 추진전략도 세울 계획이죠.
전북디지털융합센터는 디지털혁신협의체 산하 7개 전문분과를 중심으로 기업, 기관, 대학 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주력산업의 디지털 혁신과 AI 접목 방안을 모색하고 있어요.
전라북도에는 현재 빅데이터 플랫폼 5곳, 데이터안심구역, 가명정보 결합 지원센터 등 6개 분야 10곳의 핵심 디지털 인프라가 소재 운영되고 있어요. 향후 공공클라우드 데이터센터, SK 데이터센터 유치와 정보보호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디지털 인프라망을 확대할 거예요.
농생명 분야는 2028년까지 총 1800억원 규모의 'AI기반 농생명 3대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어요. 농식품분야 메타버스 기반 기술실증, AI지능형 농업생태계 구축, 지능형 농기계 실증단지를 통해 개인맞춤형 식품제조부터 원격자율작업, 자율주행, 농작업 실증까지 미래 스마트농생명 모델을 구현하는 거죠.
모빌리티 분야는 미래 모빌리티 제조공정 피지컬 AI 핵심기술 개발·실증(국비 229억원 등)을 통해 협업지능 피지컬 AI 전략을 수립하고, 이차전지 기업의 제조공정 현안과제를 AI 기술로 해결을 지원하는 지역자율형 디지털혁신 프로젝트(27억원)를 추진 중입니다.
홀로그램 산업은 익산을 중심으로 2026년까지 총 937억원을 투입해요. 1단계로 홀로그램 핵심 기술개발, 콘텐츠 서비스센터 등을 완료하고, 2단계로 사업화 실증지원, 시제품개발 등 사업화을 가속화하기로 했어요. 올해 하반기에는 '가상융합산업 지원센터' 지정 공모에 적극 대응해 기존 홀로그램 산업의 확장도 꾀하죠.
양자 분야는 전북대-한솔케미칼 컨소시엄이 국가 첫 공모사업에 선정돼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사업(28억원)을 통한 에너지 하베스팅 원리를 실증하기로 했어요.
전라북도는 학생, 재직자, 일반인 등 전 도민을 대상으로 정보기술(IT) 인재양성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어요. 올 4분기 중에는 신규사업으로 IT 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최고위 전문교육 과정(3억원)도 개설해요.
전라북도는 AI 디지털 기술 확보, 인프라를 확대하고 매년 수천명의 IT 전문인재를 양성해 대한민국 스마트농생명의 중심지, AI 기반 모빌리티 공정 최적화 등을 통해 신산업 기반을 확보한다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신원식 전라북도 미래첨단국장은 “AI와 데이터는 산업과 사회를 재편할 핵심 동력”이라며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인재양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전북형 신산업 생태계를 완성하겠다”고 말했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