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무선 충전 40분 만에 완충…기존보다 3배 빨라져요

    스마트폰, 이어폰, 차량용 충전기 같은 기기들의 무선 충전 속도가 지금보다 최대 3배 더 빨라질 예정이에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17일, 무선 전력 전송 국제 표준단체 WPC와 함께 새로운 무선 충전 기준 'Qi v2.2.1'의 인증을 시작했다고 밝혔어요. WPC는

    2025-07-17 10:18
  • 기사 썸네일
    “AI가 내 공부 습관을 코칭해준다고?”

    앞으로는 아파트 단지 안에서도 인공지능(AI) 기술을 쉽게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요. 현대건설이 아파트에 AI 기반 학습 플랫폼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헌 옷 보상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17일 밝혔어요. 학습 플랫폼 'H 스마트스터디'는 청소년의 공부 습관을 분석

    2025-07-17 09:47
  • 기사 썸네일
    대구SW마이스터고, 15~16일 전국 최초로 '바이브 코딩' 해커톤 대회 개최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교장 박유현)가 7월 15일과 16일 이틀동안 1·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바이브 코딩을 활용한 해커톤 대회'를 열었어요. 이번 해커톤은 단순 코딩 기술의 우열을 가리는 대회가 아니라,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껴지던 코딩의 장벽을 허물고 인공

    2025-07-15 17:42
  • 기사 썸네일
    디지털 동료 등장…로봇과 함께 만드는 조직문화

    현대자동차와 보스턴다이내믹스가 최근 세계적인 기업들의 인사 책임자들과 함께 로봇·인공지능(AI) 시대의 인사관리(HR)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어요. 이번 모임에는 UPS, 갭(GAP), 큐리그 닥터페퍼 등 글로벌 기업의 최고 인사 책임자 8명이 참석했어요. 참가

    2025-07-14 09:27
  • 기사 썸네일
    AI부터 드론까지! 여름방학에 만나는 첨단 기술

    서울 양천구는 여름방학을 맞아 권역별 미래교육센터(스마트양천·목동·넓은들)에서 '여름방학 미래교육특강'을 운영한다고 했어요. 이번 특강은 7월 25일부터 8월 23일까지 진행되며, 총 26개의 맞춤형 수업이 준비되어 있답니다. 참가 대상은 유아부터 초등학생, 중학생,

    2025-07-11 09:47
  • 기사 썸네일
    AI 시대에 맞는 전력망, 한전이 세계 최초로 만든다

    한국전력이 세계 최초로, 데이터센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초전도 전력망'을 만들겠다고 밝혔어요. 요즘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전기를 많이 쓰는 데이터센터가 곳곳에 생기고 있죠. 하지만 전력을 보내는 새로운 전력망을 짓는 게 쉽지 않아 고민이 많았어요.

    2025-07-11 09:16
  • 기사 썸네일
    우리나라 화이트해커팀 '데토네이터'…WinRaR 보안 취약점 찾아 해결

    우리나라 화이트해커팀 '데토네이터(detonator)'가 전세계 5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압축프로그램 WinRaR의 보안 취약점 찾아 수정하는 데 공을 세웠어요. 데토네이터팀은 한국정보기술연구원이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화이트햇 스쿨(Whitehat School)' 제3기

    2025-07-10 14:39
  • 기사 썸네일
    “부산교육청, AI로 미래 인재 키운다”

    부산에서는 앞으로 학교에서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이 펼쳐질 예정이에요.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10일 AI·디지털 교육을 통해 미래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어요. 가장 눈에 띄는 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새로운 수업

    2025-07-10 13:49
  • 기사 썸네일
    박막 태양전지 광발전 세계 신기록 달성…韓 기술력 입증

    우리나라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광발전성능 신기록을 달성했어요. 영문약자와 영어, 한자 등이 여럿 섞여 있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쉽지 않죠? 설명을 들으면 도움이 될 거예요. '탠덤'을 먼저 설명하는 게

    2025-07-10 09:50
  • 기사 썸네일
    “지하철 민원, 이제 챗봇으로 쉽게 해결해요!”

    서울 지하철을 이용하다가 덥거나 춥다고 느낀 적 있나요? 예전에는 이런 불편을 고객센터에 전화로 알려야 했지만, 이제는 챗봇을 통해 간편하게 민원을 접수할 수 있어요. 서울교통공사는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또타24'를 통해 작년에만 43만 건이 넘는 민원을 처리

    2025-07-10 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