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경북대-성균관대-LG화학, 원자 무게가 전기차 배터리 안정성 좌우하는 원리 찾아내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설계 원리를 찾아냈어요. 경북대학교 이원태 화학교육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윤원섭·김종순 교수, LG화학 공동연구팀이 전이금속 원소인 나이오븀(Nb)과 탄탈륨(Ta)을 활용한 실험에서 원자의 무게가 배터리 소재

    2025-09-24 09:34
  • 기사 썸네일
    이공계 대학원생 1000명에 학기당 250만원 장학금 지원…올해 첫 도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장학재단이 '2025년도 이공계 석사우수장학금 장학사업'을 진행해요. 올해 처음 시작되는 장학사업으로, 전국 이공계 대학원 재학생 가운데 1000명 안팎의 장학생을 선발해 학기당 250만원씩, 연간 5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해요. 이공계 석

    2025-09-23 09:00
  • 기사 썸네일
    광주과학기술원 학생창업 기업들 “자~알 나갑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학생들이 창업한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바이오, 첨단 센서,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실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자랑했군요. GIST 출신이 만든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K-딥테크 스타트업' 성공 사례로까지 주목받고 있다고 강

    2025-09-23 09:00
  • 기사 썸네일
    LG화학, 로봇 자동화 실험실 도입…'화학업계 최초'

    LG화학은 대전 기술연구원 분석연구소에 로봇 자동화 실험실을 도입했다고 22일 밝혔어요. 분석연구소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에 들어가는 리튬·니켈·코발트·망간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어요. 이를 통해 차세대 배터리 소재의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는데요.

    2025-09-22 16:35
  • 기사 썸네일
    울주군 길천 8만㎡ 면적에 '한국형-UAM 통합 실증 시설' 들어선다

    울주군 길천 일원(상북면 궁근정리) 8만여㎡ 부지에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통합 실증지가 만들어져요. 공사가 시작되는 시기는 올해 11월이죠. K-UAM 통합실증지를 만들기로 한 것은 국토교통부 'K-UAM 국가 연구개발(R&D)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돼요.

    2025-09-22 15:01
  • 기사 썸네일
    “뇌파로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국립부산과학관 10월 1일부터 '골때리는 뇌과학' 전시회

    10월 1일부터 12월 21일까지 국립부산과학관 김진재홀에서 '골때리는 뇌과학' 특별전이 열려요. '골때리는 뇌과학'은 뇌가 우리 일상에 어떻게 관여하고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체험형태로 배울 수 있는 전시회예요. 뇌과학에 대한 시민의 이해를 넓히기 위해 국립부산과학관,

    2025-09-22 14:32
  • 기사 썸네일
    “국립목포대-국립순천대 합치는데 이름을 뭐로 지을까요?”

    국립목포대학교와 국립순천대학교가 조만간 통합될 예정이예요. 그러려면 새로운 학교이름을 지어야 하는데 아직 정해진 게 없어요. 그래서 일반 공모를 통해 새로운 통합대학의 이름을 정하려고 하네요. 국립목포대학교와 국립순천대학교는 지난해 11월 공식 합의하고 대학통합에 나서

    2025-09-22 09:28
  • 기사 썸네일
    “토성 보러 과학관 가자”…국립광주과학관, 특별천문행사 '한가위 달빛산책' 10월 5일 개최

    국립광주과학관은 국민 대명절인 추석을 맞아 오는 10월 5일에 특별천문행사 '한가위 달빛산책'을 개최해요. 이번 행사에서는 천체망원경으로 둥글게 차오른 추석 보름달을 직접 관측할 수 있어요. 또 별빛천문대의 1.2m 대형망원경과 스마트 망원경 등 다양한 장비로 달의 웅

    2025-09-22 09:19
  • 기사 썸네일
    KAIST, '문워크' 추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문워크 추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했다는 소식이에요. KAIST는 기계공학과 휴머노이드 로봇연구센터 박해원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의 하체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휴머노이드는 사람과 유사한

    2025-09-19 14:09
  • 기사 썸네일
    포스텍, 수천만개 분자 중 딱맞는 약물 한번에 찾는 기술 개발

    포스텍(POSTECH)은 임현석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단 한번의 실험으로 수천만개 분자 중 딱 맞는 약물을 찾아내는 기술을 했어요. '자물쇠에 꼭 맞는 열쇠를 찾는 것만큼 어려운 일'. 과학자들이 신약을 개발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쓰는 비유라고해요. 수백만 수천만 후보

    2025-09-18 1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