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이 운영하는 인공지능(AI) 자격증이 어느새 500개를 훌쩍 넘는다고 하네요. 취업과 승진을 준비하는 학생과 직장인은 어떤 것을 따야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 헷갈릴만 하죠.
이런 혼선을 줄이고, AI 사용과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 AI자격증을 신설한다는 소식이예요.
과기정통부가 2026년 하반기 추진과제 중 하나로 'AI 자격인증제도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군요. 국가공인 AI 전문 자격시험 필요성과 민간 자격증 난립 등 현실을 고려한 해법 마련 차원이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 정보서비스 기준 국내 AI 관련 민간 자격증은 약 550개나 돼요. 2019년만 해도 10개에 불과했던 AI 관련 민간 자격증은 생성형 AI '챗GPT'가 공개된 2022년 처음 연간 100개 이상 늘어났고, 올해는 상반기 등록만 100건을 넘어서며 우후죽순 처럼 생겨나고 있어요.
이렇게 민간 자격증 종류는 많어졌지만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1만명 이상이 응시한 시험은 1개뿐이라고 하네요. 응시자가 1000명 이상인 시험도 2개뿐으로 민간 자격제도의 영향력을 그리 크지 않은가 봅니다.
국회·학계 등에서 범람하는 민간 자격증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지금의 제도에서는 일정 기준만 충족하면 신규 민간 자격증 등록이 손쉬어 개선이 쉽지 않다고 합니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유관부처가 주도하는 새로운 자격인증시험을 만들어 자격증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을 정했어요.
과기정통부는 국내 대표적인 공공 주도 소프트웨어(SW) 역량 검증 평가 'TOPCIT(Test Of Practical Competency in IT)'을 벤치마크할 계획이예요. TOPCIT은 SW 전공학생·재직자 대상 SW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역량을 평가하는 제도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관하고 있어요.
정부 차원 AI계의 'TOPCIT'을 신설해 공공 주도 자격증으로, 전공자와 직장인의 AI 역량을 평가함과 동시에 공인된 자격을 부여하겠다는 취지죠.
특히 과거 워드프로세서·컴퓨터활용능력 등 컴퓨터 자격시험이 국내 컴퓨터 보급 확대와 활용 활성화를 이끌었던 것처럼, 공공 주도 AI 자격증으로 AI 리터러시 확대와 서비스 사용 활성화를 이끄는 방향으로 제도 운용을 검토하고 있어요.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민이 AI를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 중 하나로 AI 자격증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공공 주도 국가공인 자격증 제도가 마련되면 AI에 대한 국민 관심도가 높아지고 기업 채용절차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이어 “TOPCIT도 제도가 정착되기까지 시행착오를 겪는 등 시간이 걸렸다”며 “자격시험 도입 초기에는 부작용이나 이런저런 공방이 일어날 수도 있어서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덧붙였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