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학교, 'AI 튜터'로 학생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학습 돕는다

영남대학교는 최근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 챗봇인 'AI 튜터'를 도입했어요. 단순한 AI 기술 적용을 넘어 학습관리시스템(LMS)과 통합된 지능형 교육 지원 솔루션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학습 여정을 돕는 혁신적 교육 환경을 구축한 거죠. AI 튜터는 학

기사 이미지
  • 기사 썸네일
    전라북도, AI·데이터 중심으로 신산업 생태계 준비한다…주력산업 AI 융합 가속화

    전북특별자치도가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반 산업 전환을 통한 신산업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서기로 했군요. 전라북도는 생성형 AI 시대 도래에 발맞춰 △AI·데이터 산업 육성 전략 및 디지털 인프라 확충 △농생명, 모빌리티 등 주력산업과 AI 결합 △AI 디지털 전문

    2025-09-11 11:15
  • 기사 썸네일
    경기도, 융합타운에 'CCTV AI 시스템' 도입

    경기도는 수원 광교신도시 경기융합타운에 화재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관리자에게 자동 통보하는 CCTV 인공지능(AI)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어요. 이 시스템은 AI가 CCTV 영상을 실시간 분석해 ▲화재 ▲쓰러짐 ▲다툼 ▲군집 형성 ▲차량 이

    2025-09-08 14:34
  • 기사 썸네일
    전세계 생성형 AI 인재들 '주목~!'···'APEC AI 영상콘텐츠 공모전'에서 실력 뽐내봐요

    문화체육관광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10월 31일 열리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의미를 북돋우기 위해 '인공지능(AI) 영상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해요. 문화체육관광부는 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문화와 신기술을 융합한 '신기술

    2025-08-29 10:04
  • 기사 썸네일
    KAIST, 1조원대 정부 '피지컬 AI' 국책사업 핵심연구 맡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북지역에 특화된 '피지컬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하는 1조원 규모 국책사업을 수주하고, 이 사업의 연구 총괄을 맡았다고 28일 밝혔어요. KAIST는 전북도, 전북대, 성균관대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협업지능 피지컬AI

    2025-08-28 17:47
  • 기사 썸네일
    마포구, AI로 실종자 빠르게 찾는다

    서울 마포구가 폐쇄회로(CC)TV 영상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실종자의 이동 경로를 빠르게 추적하는 실종자 고속검색시스템을 운영한다고 28일 밝혔어요. 이번 사업은 지난 7월 시범 운영을 마친 뒤 8월부터 정식 가동 중인데요. 마포구 CCTV 통합관제센터에 설치된

    2025-08-28 16:08
  • 기사 썸네일
    화천정보산업고, 강원도 첫 'AI특성화고'로 타시 태어난다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가 강원도 최초 인공지능(AI) 특성화고로 다시 태어날 계획이예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지금의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를 '강원인공지능고등학교(가칭)'로 재편해 대한민국 AI 인재양성의 새로운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임을 밝혔어요. 이 계획은 전세계 국가 산

    2025-08-26 17:15
  • 기사 썸네일
    경남대, 차세대 피지컬AI 사업 주관기관에 선정돼…총 320억원 규모

    경남대학교가 정부에서 추진하는 총 320억원 규모의 '차세대 피지컬 인공지능(AI) 핵심기술 실증사업' 을 주관할 기관으로 선정됐어요. '피지컬 AI'는 인공지능이 단순히 컴퓨터 화면 속에서 정보만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세계에서 적용돼 눈에 보이게 작동하는 것을 말

    2025-08-26 09:59
  • 기사 썸네일
    NASA, 첨단 AI 모델로 태양 분출 연구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태양 활동을 연구하기 위해 첨단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다고 해요. NASA는 그동안 IBM 등과 함께 개발한 AI 모델 '수리아'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시작했다고 현지시간 20일 밝혔어요. 수리아의 공식 이름은 '수리아 헬리오물리학 기초 모

    2025-08-21 11:32
  • 기사 썸네일
    국립산림과학원, AI와 드론으로 산림종자 예측 관리

    국립산림과학원이 앞으로 5년 동안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과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고 해요. 쉽게 말해, AI와 드론 같은 기술을 이용해 나무 씨앗을 디지털로 기록하고 관리한다는 거예요. 19일 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이 연

    2025-08-19 1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