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IT 핫픽 - 동그란 로봇이 달 지도를 그린다고?

    우린 보통 달이나 화성을 탐사하는 로버를 이야기할 때 바퀴나 다리를 가진 모습을 떠올리죠. 바퀴가 달린 로버나 다리가 달린 탐사 로봇은 지형 변화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지만, 급격한 지형 변화나 깊은 분화구에서는 전복될 위험이 있어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텍

    2025-09-11 06:00
  • 기사 썸네일
    IT 핫픽 - AI 웹브라우저 경쟁 시대

    기업들이 AI 브라우저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요. 오픈AI가 자체 웹 브라우저 아우라(Aura)를 맥OS에서 현재 테스트 중이라고 IT 업계가 지난 8월 전했어요. 지난 7월엔 퍼플렉시티(Perplexity)가 AI 브라우저 코멧(Comet)을 공식 출시했고, 마이크로소

    2025-09-04 15:23
  • 기사 썸네일
    IT핫픽 - 韓 최초 달궤도선 '다누리' 발사 3주년…우리가 얻은 성과는?

    지난 8월은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우주로 발사된 지 만 3년이 된 달이예요. 정확히 말하면 2022년 8월 우주에 쏘아올려졌으니 3년하고도 한달이 지난 거죠. 다누리는 지난 3년 간 우주탐사 역사에 새 이정표를 쓰며, 많은 의미와 성과를 가져다줬어요.

    2025-08-28 06:00
  • 기사 썸네일
    IT 핫픽 - 우주에 쥐 75마리 보낸 러시아

    지난 20일 러시아가 우주로 특별한 손님들을 보냈어요. 바로 쥐 75마리예요. 이들은 '바이온-M 2호(Bion-M No.2)'라는 생물위성을 타고,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소유즈 2.1b 로켓에 실려 발사됐어요. 위성은 한 달 동안 지구 궤도를 돈 뒤,

    2025-08-21 06:00
  • 기사 썸네일
    IT 핫픽 - 한국형 AI 개발 본격화…정예팀 소개와 계획

    우리나라만의 소버린 인공지능(AI)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어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등 5개 팀을 최종 선정했어요. 이들은 기업·대학·연구기관이 모인 '정예팀(컨소시엄)'으로, 거대언어모델(LLM)

    2025-08-14 06:00
  • 기사 썸네일
    IT 핫픽 - 무인함정 시대 여는 '네이비 씨 고스트 프로젝트'

    5월 29일에 소개한 [IT핫픽 - AI가 운전하는 '자율주행', 우리는 준비됐을까?]편에서 무인 자율주행기술이 하늘과 땅, 바다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고 공부했어요. 하늘(공중)에서는 드론·도심항공교통(UAM)·무인 항공기(UAV)의 모습으로, 땅(육상)에서는 자율주행

    2025-08-07 06:00
  • 기사 썸네일
    IT 핫픽 - 디지털 트윈으로 다시 만나는 문화유산

    미국의 기술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프랑스 파리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겠다고 최근 밝혔어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현실 세계에 있는 것을 똑같이 만들어 컴퓨터 속 가상 공간에 옮겨 놓는 거예요. 성당 같은 건축물이나 공장

    2025-07-31 06:00
  • 기사 썸네일
    IT 핫픽 - 탄소중립과 AI를 지원할 핵심 기술, HVAC

    단순한 냉난방 기술로만 여겨졌던 HVAC(난방·환기·공기조화)가 이제는 미래에 꼭 필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어요. 예전에는 HVAC가 그저 건물 안을 시원하거나 따뜻하게 해주는 보조 장치 정도로만 생각됐어요. 현재는 탄소를 줄이고 에너지 비용을 아끼며, 인공지능(AI)

    2025-07-24 06:00
  • 기사 썸네일
    IT핫픽 - '신호등 남은 시간 표시' 득일까 실일까

    “횡단보도를 다 건너지도 않았는데 녹색신호등이 적색으로 바뀌면 어쩌지?” 횡단보도를 건널 때 누구나 다 그런 생각을 해봤을 거예요. 마음이 조마조마하기도 하죠. 그래서 고안해낸 것이 “녹색신호등의 남은 시간을 표시해주자”였죠. 지금 웬만한 횡단보도 신호등에는 녹색신호등

    2025-07-17 08:00
  • 기사 썸네일
    IT핫픽 - “AI와 빅데이터로 지진을 예측한다고?”…어떻게 가능할까?

    여러분은 혹시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조금이라도 미리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만약 대형 지진을 충분히 일찍 예측할 수 있다면, 인명 피해나 재산 피해를 훨씬 줄일 수 있을 거예요. 최근 일본에서는 '난카이 대지진'이 2025년 7월쯤

    2025-07-10 06:0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