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과학 - 바이러스를 거르는 마스크의 비밀은?

톡톡 과학 - 바이러스를 거르는 마스크의 비밀은? (AI로 이미지 생성)
톡톡 과학 - 바이러스를 거르는 마스크의 비밀은? (AI로 이미지 생성)

우리를 코로나19로부터 지켜준 고마운 마스크. 이 마스크는 어떻게 우리 눈에도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바이러스를 막아주는 걸까요? 마치 마법의 필터 같다고요? 사실 마스크 속에는 아주 신기하고 재미있는 과학 원리가 숨어 있답니다.

우리가 감기에 걸리거나 코로나19에 걸리는 이유는 몸속에 아주 작은 악당, 바로 바이러스가 침투했기 때문이에요. 이 바이러스는 너무 작아서 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답니다. 아주 작은 먼지보다 훨씬 더 작다고 생각하면 돼요. 이 작은 악당들은 우리 몸속에 들어와서 우리를 아프게 만들죠.

우리가 쓰는 마스크는 여러 겹의 천이나 특수 섬유로 만들어져 있어요. 이 섬유들은 아주 가느다랗고 촘촘하게 얽혀 있어서 아주 작은 그물과 같은 역할을 한답니다.

우리가 숨을 쉬거나 기침,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침방울이나 더 큰 먼지들은 이 촘촘한 그물망에 걸려서 마스크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돼요. 마치 큰 물고기가 작은 그물에 걸리는 것과 같은 원리죠.

하지만 바이러스는 침방울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이 촘촘한 그물 사이를 쉽게 빠져나갈 수 있을 것처럼 보일 수 있어요. 그런데 마스크는 단순히 그물망 역할만 하는 게 아니랍니다.

마스크는 아주 작은 바이러스까지 효과적으로 걸러내기 위해 두 가지 특별한 방법을 사용해요.

물리적인 필터링: 얽히고설킨 섬유 사이로 쏙쏙!

마스크 섬유들은 아주 불규칙하게 얽혀 있어요. 마치 복잡한 미로처럼 생겼죠. 우리가 숨을 쉴 때 공기가 이 섬유 사이를 지나가면서 작은 바이러스 입자들은 섬유에 부딪히거나 섬유 사이의 좁은 틈에 갇히게 돼요. 마치 좁은 골목길을 지나가던 작은 공이 벽에 부딪히거나 틈에 끼이는 것과 같아요.

정전기 필터: 전기적인 끈끈이 역할!

일부 마스크에는 정전기를 띤 섬유가 사용되기도 해요. 정전기는 우리 옷에 먼지가 달라붙게 만드는 바로 그 힘이랍니다. 마스크 섬유가 정전기를 띠고 있으면, 작은 바이러스 입자들이 이 전기적인 힘에 이끌려 섬유에 달라붙게 돼요. 마치 자석에 쇠붙이가 달라붙는 것처럼요. 그래서 정전기 필터가 있는 마스크는 더 작은 바이러스까지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답니다.

이렇게 신기한 과학 원리가 숨어 있는 마스크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해요. 마스크는 얼굴에 잘 밀착되어야 틈새로 바이러스가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어요. 오염된 마스크는 필터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니 깨끗한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요. 코와 입을 완전히 덮도록 착용해야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답니다.

마스크는 나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도 보호해줘요. 내가 아플 때 바이러스가 퍼지지 않도록 막아주고, 다른 사람이 아플 때 그 바이러스가 내 몸에 들어오지 못하게 해주는 고마운 존재랍니다.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