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과학 - 물고기는 어떻게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있을까?

톡톡 과학 - 물고기는 어떻게 물속에서 숨 쉴 수 있을까? (AI로 이미지 생성)
톡톡 과학 - 물고기는 어떻게 물속에서 숨 쉴 수 있을까? (AI로 이미지 생성)

사람은 물속에 오래 들어가면 숨을 쉴 수 없어서 꼭 밖으로 나와야 해요. 그런데 물고기는 어떻게 평생을 물속에서 살면서 숨을 쉬는 걸까요? 혹시 물고기에게는 특별한 산소 탱크라도 있는 걸까요?

사실 물고기들도 우리처럼 산소가 있어야 살 수 있어요. 다만 물고기는 공기 속 산소가 아니라,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이용한답니다.

물속에도 산소가 있다고요?

네, 있어요! 물이 깨끗하게 보인다고 해서 아무것도 없는 건 아니에요. 실제로 물속에는 아주 작은 기체들이 녹아 있어요. 그중 하나가 바로 '산소(O₂)'입니다.

이 산소는 공기 중 산소보다 양은 적지만, 물고기가 살아가기에 충분한 양이에요. 물속에 사는 물고기들은 바로 이 물에 녹아 있는 산소를 걸러서 숨을 쉬는 거랍니다.

아가미가 바로 숨 쉬는 도구!

사람에게는 코와 폐가 있지만, 물고기에게는 '아가미'라는 특별한 기관이 있어요. 물고기가 입으로 물을 마시듯 들이마신 다음, 그 물이 아가미를 지나가면서 아가미에 있는 아주 얇은 혈관을 통해 산소가 몸속으로 들어가고, 이산화탄소는 다시 물로 내보내요.

쉽게 말해, 아가미는 물속의 산소만 쏙쏙 골라서 흡수하는 필터 같은 역할을 하는 거예요!

폐가 아니라 아가미라서 가능한 일

사람이 물속에서 숨을 못 쉬는 이유는, 폐는 물속의 산소를 걸러내는 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산소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거든요. 그래서 스쿠버다이빙을 할 때는 산소통이 꼭 필요하죠.

반면에 물고기는 아가미 덕분에 따로 산소통 없이도 물속에서 숨을 잘 쉴 수 있는 거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