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과학 -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까?

톡톡 과학 -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까? / byZain
톡톡 과학 -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까? / byZain

수백 명이 타는 무거운 쇳덩어리 비행기가 하늘을 훨훨 나는 모습을 보면,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

사람보다 무거운 물건도 떨어지는데, 비행기는 어떻게 공중에 떠서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는 걸까요?

그 이유를 알려면, 먼저 공기와 날개의 관계를 알아야 해요.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내는 힘, 양력!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데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양력'이라는 힘이에요.

비행기 날개는 그냥 평평한 판이 아니에요. 윗부분은 살짝 둥글고, 아랫부분은 비교적 평평한 모양으로 되어 있어요. 이 모양 때문에 날개 위쪽을 지나는 공기는 아래쪽보다 더 빠르게 흐르게 되죠.

그러면 날개 위쪽의 공기 압력은 낮아지고, 아래쪽은 높아져서 비행기를 위로 밀어 올리는 힘 즉, '양력'이 생기는 거예요. 양력이 중력보다 크면, 비행기는 하늘로 떠오를 수 있답니다.

엔진이 앞으로 나아가게 도와줘요

비행기에는 엔진이 달려 있어요. 이 엔진은 공기를 뒤로 세게 밀어내서, 비행기를 앞으로 빠르게 움직이게 해요.

이렇게 속도가 붙으면 공기의 흐름도 빨라지고, 날개에 생기는 양력도 더 커지죠.

톡톡 과학 -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까? / 항공위키
톡톡 과학 -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까? / 항공위키

4가지 힘의 균형이 중요해요

비행기가 나는 데는 총 4가지 힘이 작용해요.

△ 양력(Lift): 위로 떠오르게 하는 힘

△ 중력(Gravity): 아래로 끌어당기는 힘

△ 추진력(Thrust):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

△ 항력(Drag): 공기의 저항으로 뒤로 잡아당기는 힘

이 네 가지 힘이 서로 균형을 이뤄야 비행기는 안정적으로 하늘을 날 수 있어요.

쇳덩어리가 나는 게 아니라, 과학이 나는 거예요!

무거운 비행기가 날 수 있는 건 마법이 아니라 과학 덕분이에요. 양력과 추진력, 공기의 흐름, 날개의 모양 등 수많은 과학 원리가 숨어 있답니다.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