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극과 남극, 지구의 양 끝에 자리한 신비로운 지역들이에요.
그런데 왜 이곳들은 언제나 얼음과 눈으로 뒤덮여 있고, 춥기만 할까요?
태양빛은 항상 비치는데 왜 따뜻하지 않을까요?
태양빛이 직접 닿는 각도가 달라요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태양빛이 북극과 남극에 닿을 때는 똑바로 내리쬐지 않고 사선으로 퍼져서 들어와요. 그래서 같은 양의 빛이라도 넓은 면적에 나눠지기 때문에 열이 약해져서 따뜻해지기 어렵답니다.
낮이 길어도 태양빛이 약해요
여름철에는 해가 지지 않고 하루 종일 떠 있는 '백야' 현상이 나타나요. 하지만 태양은 지평선 가까이 낮게 떠 있기 때문에 빛과 열이 강하지 않아요. 이런 이유로 오랜 시간 빛이 있어도 얼음이 쉽게 녹지 않는 거죠.
반면 겨울에는 해가 몇 달 동안 뜨지 않는 '극야'가 계속되어 햇빛을 거의 받지 못해 매우 춥답니다.
얼음과 눈이 태양빛을 반사해요
하얀 눈과 얼음은 빛을 거의 흡수하지 않고 대부분 반사해요.
이를 '알베도 효과'라고 하는데, 이 때문에 태양열이 땅에 잘 전달되지 않고 다시 우주로 돌아가요. 덕분에 북극과 남극은 더욱 차갑게 유지된답니다.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