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은 포장 용기 제조업체 엔피씨와 함께 발포 폴리스티렌(EPS, 일명 스티로폼) 대신 쓸 수 있는 기업용 '수산물 포장 다회용기'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어요.
스티로폼 상자는 가볍고 보냉 성능이 뛰어나 수산물 포장에 널리 사용되지만, 세척이 어렵고 재활용이 잘 되지 않아 대부분 소각·매립돼요. 그래서 환경오염 문제가 꾸준히 지적돼 왔죠.
연구팀이 개발한 다회용기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제작돼 재활용이 가능하고, 보냉 성능도 우수해 기존 스티로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요. 외부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PP로 내구성을 높였고, 내부 단열재로는 가볍고 보냉 효과가 좋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을 사용했어요.
압축강도와 내충격성 시험에서도 내구성을 입증했으며, 생산부터 유통·사용·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평가한 결과, 초기 탄소 배출량은 스티로폼보다 3배 높지만 4회 이상 재사용하면 환경적 이득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용 기업의 의견을 반영해 포갤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해 보관과 운송 효율을 높였고, 무게도 소형 1㎏, 대형 1.5㎏으로 경량화했어요. 용기는 회수 후 세척·건조·살균 과정을 거쳐 35회 이상 반복 사용이 가능하답니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체계를 바탕으로 개발 용기를 수산물 유통 과정에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3만 3천 개 용기를 투입해 스티로폼 상자를 대체하고 있어요. 앞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에요.
만약 이마트에브리데이가 수산물 유통 과정에서 사용하던 모든 EPS를 새 용기로 대체하면, 3천 톤 이상의 스티로폼 폐기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어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