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자체 최초로 기후위성 쏜다…11월 예정

'경기기후위성 1호기' 모습.
'경기기후위성 1호기' 모습.

경기도가 11월에 기후위성을 발사합니다.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 기후위성을 발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서 이목을 끌고 있어요.

기후정책 고도화, 탄소규제 대응, 기후테크 산업 육성, 국제협력 등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역점 사업으로 내세워온 기후위성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모아집니다.

경기도는 '경기기후위성 1호기(GYEONGGISat-1)'를 오는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구체적인 발사 일정은 최종 조율 중이예요. 광학위성인 1호기는 지구 저궤도(LEO)에서 3년간 운용되며, 경기도 전역의 기후·환경 데이터를 정밀하게 수집하게 돼요.

이 사업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첫 기후위성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주목돼요. '광학위성 1기+온실가스 관측위성 2기'로 구성된 경기기후위성 체계는 발사 후 △토지이용 현황 정밀 모니터링 △온실가스(특히 메탄) 배출원 식별·배출량 추정 △홍수·산불·산사태 등 기후재난 피해 상황 모니터링에 활용합니다.

경기도는 위성 데이터를 관측-수집-분석해 도내 주요 배출원을 정밀 감시하고, 경기기후플랫폼과 연계해 '경기도 온실가스 관측 지도'를 구축할 계획이예요. 산업단지 등 특정 지역의 메탄 탈루·누출 지점과 발생량을 상시 관측하며, 농업·축산 부문의 배출 및 기후영향, 재난 대응 체계 고도화에도 적용할 예정이죠.

또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규제 강화에 맞춰 도내 기업(중소기업)의 탄소 배출 실측-보고-저감 등 모든 과정을 지원해요. 위성 데이터를 개방·공유해 기후테크 스타트업 발굴과 우주·환경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도 병행하고, 국내외 유관기관과 공동 관측·연구·표준화 협력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가지고 있죠.

사업은 지난해 8월14일 김동연 지사의 후반기 중점과제 발표 이후 같은 해 10월 기본계획 수립, 2025년 2~3월 개발·운용기관 공모·선정, 7월 위성 개발 완료, 9월 탑재체 항공시험을 거쳐 발사 단계에 들어섰어요.

경기도 관계자는 “발사 이후 초기운영(IOC)과 검증을 마치는 대로 관측 데이터를 순차 공개하고, 정책·산업 분야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