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연구팀, 질량이 태양 2조배에 달하는 푸른빛 거대 괴물 은하 발견

두꺼운 먼지에 싸인 모은하에서 강한 푸른빛이 보이는 초대질량 블랙홀 은하 상상도(천문연 제공)
두꺼운 먼지에 싸인 모은하에서 강한 푸른빛이 보이는 초대질량 블랙홀 은하 상상도(천문연 제공)

우리나라 천문학자들 참여한 국제연구진이 먼지 속에서도 강한 푸른빛을 내는 '거대 괴물' 은하를 발견했어요. 이 은하는 질량이 태양의 약 2조배에 달하는 무거운 은하로,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약 140억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다는군요.

한국천문연구원은 국제공동연구팀이 초대질량 블랙홀을 품은 은하 '블루독(BlugDOG·Blue-excess Dust-Obscured Galaxy)'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어요.

천문연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으로 발견한 특이 천체 후보를 칠레 제미니 남반구 망원경으로 후속 분광 관측한 끝에 이 같은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어요.

먼지에 두껍게 가려진 은하는 일반적으로 붉게 보이죠. 먼지가 자외선 같은 짧은 파장(푸른빛)은 가로막고 산란시키며, 적외선 같은 긴 파장(붉은빛)을 잘 통과시키기 때문이예요.

이번에 발견된 은하는 이례적으로 강한 푸른빛(자외선 초과)을 발산해요. 이 은하는 '블루독(BlueDOG)'으로 불리며, 약 110억년 전 은하와 블랙홀이 가장 활발히 성장하던 '우주 정오'시기에 존재했던 천체예요.

이 은하는 태양 질량의 2조배에 달하는 무거운 은하로,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140억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자리해요. 또 폭발적인 별 탄생 현상이 일어나 은하 밝기는 우주에서는 매우 드문 태양의 약 80조배에 달하는 초고광도 특성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는 단순히 먼지에 가려진 은하가 아니라, 은하 진화 단계 중 폭풍 성장하는 시기를 보여주는 특별한 천체임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어요.

연구팀은 독특한 푸른빛 기원을 밝히기 위해 두 가지 가능성을 분석했어요. 중심 블랙홀 빛이 모은하 내부 가스와 먼지에 의해 산란하거나, 은하 내에서 최근 일어난 폭발적인 별 생성 활동으로 푸른빛이 초과로 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어요.

분석 결과 산란광이나 폭발적 별 생성 어느 쪽만으로는 모든 현상을 설명하기 어려워 두 현상이 함께 기여했을 가능성이 점쳐진다는군요.

연구팀은 향후 우주망원경들과 지상 거대 관측시설을 활용한 심층 관측으로 폭발적인 별 생성 흔적을 찾고 푸른빛 초과 현상 기원을 규명해나갈 계획이예요.

정웅섭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적외선 영역에서 매우 밝게 빛나는 초기 은하들의 진화 과정을 관측적으로 추적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초대질량 블랙홀의 강력한 활동과 폭발적인 별 탄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포착했다”며 “이번 성과는 최근 제임스웹이 발견한 수수께끼 초기 은하와 블랙홀이 어떻게 함께 성장했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