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화이트해커팀 '데토네이터(detonator)'가 전세계 5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압축프로그램 WinRaR의 보안 취약점 찾아 수정하는 데 공을 세웠어요. 데토네이터팀은 한국정보기술연구원이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화이트햇 스쿨(Whitehat School)' 제3기
-
우리나라 화이트해커팀 '데토네이터'…WinRaR 보안 취약점 찾아 해결2025-07-10 14:39
-
“부산교육청, AI로 미래 인재 키운다”
부산에서는 앞으로 학교에서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이 펼쳐질 예정이에요.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10일 AI·디지털 교육을 통해 미래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어요. 가장 눈에 띄는 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새로운 수업
2025-07-10 13:49 -
박막 태양전지 광발전 세계 신기록 달성…韓 기술력 입증
우리나라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광발전성능 신기록을 달성했어요. 영문약자와 영어, 한자 등이 여럿 섞여 있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쉽지 않죠? 설명을 들으면 도움이 될 거예요. '탠덤'을 먼저 설명하는 게
2025-07-10 09:50 -
“AI 웹브라우저로 구글에 도전장?”…퍼플렉시티의 '코멧' 나왔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웹브라우저가 곧 등장한다고 해요. 바로 미국의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가 만든 '코멧(Comet)'이라는 브라우저예요. 퍼플렉시티는 “사람의 지능을 더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인터넷을 만들고 싶었다”며 9일 블
2025-07-10 09:48 -
“지하철 민원, 이제 챗봇으로 쉽게 해결해요!”
서울 지하철을 이용하다가 덥거나 춥다고 느낀 적 있나요? 예전에는 이런 불편을 고객센터에 전화로 알려야 했지만, 이제는 챗봇을 통해 간편하게 민원을 접수할 수 있어요. 서울교통공사는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또타24'를 통해 작년에만 43만 건이 넘는 민원을 처리
2025-07-10 09:00 -
복숭아 품종 개발, 이제는 디지털 시대!
복숭아는 맛과 모양, 털의 유무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품종이 아주 많아요. 실제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복숭아 품종만 해도 200종이 넘는답니다. 그런데 이런 품종을 새로 개발하려면, 수천 그루의 나무를 심고 15년 넘게 돌봐야 해서 아주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요. 그
2025-07-09 17:03 -
미국 교실에 AI가 들어온다…선생님도 챗봇 공부 시작
미국에서는 인공지능(AI)을 학교 수업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점점 빨라지고 있어요.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교사 단체인 '미국교사연맹(AFT)'이 AI를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한 특별 교육 공간을 만들겠다고 발표했어요.
2025-07-09 10:59 -
'하늘에서도 자유로운 통신'...ETRI, 공간장벽 없엔 6G통신 시연 '성공'
우리나라 연구진이 6세대(6G) 이동통신기술 실시간 시연에 성공했어요. 조만간 만들어질 6G 국제표준을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셈이죠. 지금 우리가 사용 중인 이동통신은 5세대(5G)라는 거 알고 있죠? 5G와 6G의 눈에 띄는 차이는 세대가 높아질수
2025-07-09 09:09 -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바꿔요”…정부, 43개국에 새 에너지 정책 소개
우리 정부가 앞으로는 친환경 에너지를 더 많이 쓰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을 바꾸겠다고 밝히고, 이 내용을 전 세계 여러 나라에도 소개했어요.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서울에서 43개 나라의 주한 외교관들을 초청해 '에너지슈퍼위크' 설명회를 열었어요. 이 자리에서 우리나라가
2025-07-08 15:00 -
KISTI, 100큐비트 양자컴퓨터 들여온다…미래형 컴퓨터 연구 본격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미국에서 만든 아주 강력한 양자컴퓨터를 도입해 새로운 컴퓨터 연구에 나서요. 이 컴퓨터의 이름은 '템포(Tempo)'예요.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더 복잡한 계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서 미래형 컴퓨터로 불리는 장치랍니다. KISTI
2025-07-08 1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