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의 대표 음식인 배추김치가 기존보다 300년이나 앞선 15세기 중엽부터 등장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어요. 세계김치연구소 박채린 연구팀이 배추김치의 기원이 기존 학계의 인식보다 약 300년 앞선 15세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발표했
-
우리 배추김치 역사 300년이나 앞당긴 새 연구결과 나와2025-08-12 10:52
-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너의 이름은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내년에 들여올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의 이름을 공모해요. 이름 공모전에는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어요. 8월 11일부터 22일까지 응모할 수 있으니 서둘러야 합니다. 참고로 과거 1호기부터 5호기까지는 어떤 이름이 있었는
2025-08-11 11:37 -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엔 자율주행 운송차량이 다녀요”
인천공항공사는 8월 8일 기자들에게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안에서 자율주행 운송차량(AM) 운행모습을 공개했어요. 기자들은 실제로 자율주행 운송차량을 타보기도 하고, 이용객의 모습을 사진기록으로 남기기도 하며 안전함과 쾌적함을 직접 경험해봤어요. 인천공항공사는 제2
2025-08-11 08:00 -
국립중앙과학관, 대덕으로 간지 35년 만에 관람객 3500만명 돌파
국립중앙과학관은 1990년 10월 9일 대덕 이전 이후 35년간 누적 관람객 3500만명을 돌파했다고 8월 8일 밝혔다. 국립중앙과학관은 개관 80주년 및 누적 관람객 3500만명을 기념하기 위해 7일 선착순 관람객 500명에게 기념품을 증정하고, 3500만번째 관람객
2025-08-08 16:20 -
KAIST 웨어러블 로봇 디자인, 레드닷 '베스트 오브 더 베스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최근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디자인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어요! 산업디자인과 박현준 교수 연구팀인 '무브랩(MoveLab)'이 새로운 웨어러블 로봇 디자인 '엔젤로보틱스 WSF1 비전 콘셉트(VISION Concept)'로 '20
2025-08-08 11:00 -
국립광주과학관, 우주신비 다룬 '2025 돔 영화제' 10일까지 진행
국립광주과학관은 지난 8월 1일부터 천체투영관(플라네타리움, Planetarium)에서 진행하고 있는 '2025 돔 영화제'가 인기를 모으며 관람객의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어요. '2025 돔 영화제'는 '우주여행'을 주제로 관람객에게 우주의 신비와 과학적 상상력을
2025-08-08 09:28 -
아이랑 즐겨요! - 어린이과학관, 15~17일 과학문화행사 '슝슝 비행 오락실' 운영
국립어린이과학관은 15일부터 17일까지 여름방학을 맞아 온 가족이 참여할 수 있는 과학문화행사 '슝슝 비행 오락실'을 운영해요. 서울 종로구 과학관 1층 꿈트리 동산과 과학극장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비행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돼 있어요. 꿈트리 동산에서는 에
2025-08-07 15:48 -
한남대, 무인기항공분야 글로벌 창업 생태계 만든다
한남대학교가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연구소·대학과 함께 국내 최대규모의 무인기(UAV) 항공분야 글로벌 창업·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어요. 한남대는 대전시 대표 전략산업 중 하나인 우주항공 및 국방 분야의 우수한 인프라를 바탕으로한남대는 △글로벌 우주항공산업 대표주자
2025-08-07 14:43 -
고구려천문과학관, 페르세우스 유성우 심야관측회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이 이달 10부터 13일까지 '페르세우스 유성우 심야 관측회'를 열어요. 오후 10시부터 이튿날 새벽 2시까지 마련되는 이번 행사에는 별 박사로 불리는 이태영 관장이 해설을 맡아 별자리와 유성우 원리 등을 직접 소개할 예정이에요. 하와이 수바루 천문대
2025-08-07 11:11 -
황금들녘에 드론 띄우니 '참새 쫓기' 효과 있네
가을 수확기에 애써 키운 곡식을 새들이 다 먹어버린다면 농민의 마음은 타들어 갈 거예요. 예전에는 가을철 황금들녘을 지나다보면 곡식을 지키는 허수아비가 자주 눈에 띄었지만 요즘에는 그마저도 잘 보이지 않네요. 효과가 별로 없기 때문이죠. 이젠 새들도 약아져서 허수아비가
2025-08-07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