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활용해 자료 분석·생성 지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가지고 있는 수천 개의 조사연구 자료나 정기간행물의 내용을 인공지능(AI)으로 대화하면서 검색할 수 있게 됐어요.
이전에는 정확한 검색어를 입력해 자료를 검색해야 했지만, 앞으로는 AI와 대화하며 검색어와 검색조건을 만들어 자료를 찾을 수 있겠네요.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함께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 데이터 전문 AI 플랫폼 '미디어 AI'를 구축하고, 14일부터 운영에 들어갔어요.
'미디어 AI'는 언론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방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쉽게 찾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미디어 조사·연구 및 간행물 등에 대한 정보 검색부터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생성까지 아우르는 통합형 플랫폼이예요.
'언론수용자 조사'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와 같은 대국민 통계는 물론이고, '언론인 의식조사' '신문·잡지 산업 실태조사' 등의 언론·미디어 관련 전문 자료, '미디어 리터러시' '해외 미디어 동향'과 같은 정기간행물을 포함해 총 8000여 건 자료를 제공해요.
사용자는 간행물별 검색 결과를 확인하고, 관련도순 정렬, 발행일·저자·제목 등의 조건 설정, 본문 내 이미지와 통계표 검색 기능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어요.
생성형 AI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즉각적이고 맥락 있는 대화형 응답을 제공하는 한편 최대 3회까지 이어지는 상호작용(멀티 턴) 대화 기능을 통해 이전 질문의 맥락을 반영한 대화도 지원하네요.
사용자가 제목과 간단한 주제만 입력해도 보고서 초안(7종)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도 있어요. 이 기능을 사용할 때 추가로 관련 첨부자료를 올리면 더욱 정확한 결과물을 제공한다고 하니 과제물이나 보고서를 만들 때 잘 활용하면 좋겠네요.
문체부와 언론재단은 이번 플랫폼 구축을 계기로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서비스 활용 확대 △AI 산업과의 협력 강화 △데이터 개방 △응용기술 확산 등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