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만드는 증강현실, 사진 한 장이면 충분해요!”

단일 파노라마 사진에서 공간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AI 모델 / 울산과학기술원
단일 파노라마 사진에서 공간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AI 모델 / 울산과학기술원

360도 사진 한 장만으로도 방 안의 구조와 가구 위치 같은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등장했어요.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주경돈 교수 연구팀이 만든 AI 모델 'HUSH(Holistic Panoramic 3D Scene Understanding using Spherical Harmonics)'는 360도 파노라마 사진 한 장만 보고도 실내 공간의 구조와 사물의 3차원 정보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요.

보통 이런 정보를 얻으려면 여러 각도에서 찍은 여러 장의 사진이나, 고가의 깊이 센서 장비가 필요했어요. 하지만 HUSH는 사진 한 장만으로 이 일을 해낸다고 해요!

360도 파노라마 사진은 넓은 공간을 한눈에 담을 수 있어서 유용하지만, 사진이 둥글게 왜곡돼 있어 AI가 정확히 분석하기 어려웠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이런 왜곡을 해결하기 위해 '구면 조화함수'라는 수학 기법을 활용했어요.

이 기법은 공간의 구조를 저주파와 고주파 성분으로 나눠 분석해요. 넓은 천장이나 바닥은 저주파로, 가구나 물체처럼 복잡한 모양은 고주파로 표현하는 방식이에요. 이렇게 하면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공간을 분석할 수 있어요.

HUSH는 기존 기술보다 훨씬 정확하게 깊이 정보 등을 예측하고, 계산 효율도 높아서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같은 기술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거라고 해요.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을 쓸 때 우리 주변 공간을 잘 인식하고, 그 위에 디지털 정보를 자연스럽게 덧씌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이 연구는 세계적인 컴퓨터 비전 학회인 CVPR 2025에서 발표돼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주경돈 교수는 “실내 공간을 정확히 인식해야 하는 기술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