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AI 단말기·로봇 개발에도 뛰어드나?

샘 올트먼, 일본서 “AI 전용 단말기 출시할 것”…독자 칩 개발도 시사

인공지능(AI) 열풍을 주도하는 미국의 오픈AI가 챗GPT를 앞세워 전방위적인 하드웨어 개발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어요. IT 전문 매체인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오픈AI는 지난달 31일 미국 특허청에 오픈AI와 관련된 제품의 상표 등록 신청서를 냈다고 하네요.

사실 기업들이 상표 등록을 자주 하긴 하지만, 이번에는 의미가 조금 다르답니다. 오픈AI가 단기적으로 내놓을 제품은 물론, 미래 제품에 대한 힌트도 포함되어 있다고 해요. 신청서에는 헤드폰, 고글, 안경, 리모컨, 노트북 및 휴대폰 케이스, 스마트워치와 같은 다양한 기기가 언급되어 있죠. 심지어 로봇도 포함되어 있는데, 사람들을 돕고 즐겁게 하기 위한 소통 및 학습 기능을 갖춘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이라고 명시되어 있어요.

최근 오픈AI는 새로운 로봇팀도 구성하기 시작했어요. 작년 11월에는 메타플랫폼의 증강현실(AR) 글라스 부서에서 하드웨어 팀장을 맡았던 케이틀린 칼리노우스키를 영입했다고 해요. 또한, 오픈AI가 맞춤형 센서와 AI를 활용해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가진 로봇을 테스트하려는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고 알려졌어요. 테크크런치는 이 로봇이 휴머노이드일지도 모른다고 평가했답니다.

사람들을 돕고 즐겁게 하기 위한 소통 및 학습 기능을 갖춘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을 형상화한 이미지. (원AI로 생성)
사람들을 돕고 즐겁게 하기 위한 소통 및 학습 기능을 갖춘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을 형상화한 이미지. (원AI로 생성)

정말 흥미로운 부분은 신청서에 맞춤형 AI 칩과 AI 모델 성능 최적화를 위한 양자 컴퓨팅 자원 활용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다는 거예요. 오픈AI는 이미 자체 AI 모델을 실행할 맞춤형 칩 개발을 진행 중이래요. 칩 부품은 브로드컴과 대만의 TSMC와 함께 협력하고 있고, 2026년까지 맞춤형 칩을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도 일본 방문 중에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AI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반도체 개발에 내부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하며 독자적인 칩 개발 가능성을 언급했어요. 이 반도체는 아마도 데이터센터에 접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되고 있죠.

양자 컴퓨팅과 관련해 오픈AI의 계획은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사이퀀텀에서 엔지니어를 영입했다고 해요. 양자 컴퓨팅은 동시에 방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어서 AI 모델 훈련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할 잠재력이 있답니다. 그렇게 된다면, 오픈AI는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구조의 하드웨어에서 모델을 훈련하는 미래를 상상하고 있을지도 몰라요.

올트먼 CEO는 또 미국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AI 전용 단말기를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애플 디자이너 출신의 조니 아이브와 함께 AI 하드웨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해요. 물론, 신청서가 꼭 제품 로드맵을 직접적으로 반영하지는 않지만, 오픈AI가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 중이라는 건 분명한 것 같아요.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