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CEO인 순다르 피차이는 최근 양자컴퓨터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용한 양자컴퓨터가 5~10년 후에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그는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 정부 정상회의에서 양자컴퓨터의 현재 발전 단계를 2010년대 초 인공지능(AI) 발전 초기와 비교하며 이같이 설명했어요.
피차이 CEO는 “양자 컴퓨팅의 현 단계는 2010년대 AI의 발전 초기와 비슷하다”며, 당시 구글이 AI 연구 프로젝트인 '구글 브레인'을 시작했을 때와 비슷한 상황이라고 말했어요.
구글 브레인은 2011년에 시작된 AI 및 딥러닝 연구 프로젝트로, 초기 성과 이후 AI를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는 데 약 10년이 걸렸어요. 피차이는 양자컴퓨팅 기술의 발전도 비슷한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예상했어요. 반면,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매우 유용한 양자컴퓨터가 나오려면 15년에서 30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어요. 그의 발언 이후 양자컴퓨팅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들의 주가가 급락하기도 했어요.
구글은 양자컴퓨팅 기술에서 가장 앞선 기업 중 하나로, 지난해 12월 자체 개발한 양자 칩 '윌로우'를 장착한 양자컴퓨터가 현존하는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가 풀 수 없는 문제를 단 5분 만에 풀었다고 발표했어요. 구글은 5년 내 상업용 양자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또한, 피차이 CEO는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다운로드 순위에서 1위에 오른 것을 언급하며 “딥시크 팀이 매우 훌륭한 일을 해냈다”고 평가했어요. 그는 “글로벌 AI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보여준다”며 “구글도 딥시크를 통해 몇 가지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어요.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