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북지역에 특화된 '피지컬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하는 1조원 규모 국책사업을 수주하고, 이 사업의 연구 총괄을 맡았다고 28일 밝혔어요.
KAIST는 전북도, 전북대, 성균관대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협업지능 피지컬AI 기술 실증' 시범사업을 공동 수주했고, 다음 달부터 기술 검증에 들어갑니다.
'피지컬 AI'는 인공지능이 단순히 컴퓨터 화면 속에서 정보만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세계에서 적용돼 눈에 보이게 작동하는 것을 말해요. 인공지능 기술이 로봇, 자율주행차, 드론 등 물리적 장치와 결합해 실제 환경에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하죠. 로봇 공학, 제조, 의료,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협업지능 피지컬AI는 수많은 로봇과 자동화 장비가 투입되는 공장 환경에서 이들이 서로 협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로, 반도체·2차전지·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무인 공장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어요.
기존 제조 AI와 달리 방대한 양의 과거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으며,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을 통해 변화가 잦은 제조 환경에도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죠.
정부는 지난 22일 AI 3대 강국을 목표로, 경남·전북·광주·대구 4개 지역을 지역 특화 AI 모델을 개발하는 혁신거점으로 정해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한다고 발표한 바 있어요.
KAIST 컨소시엄은 앞으로 5년 동안 1조원을 투입해 전북에 협업지능 피지컬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에도 참여해요.
KAIST는 연구 원천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한 연구 환경 조성, 산업 확산을 담당합니다. KAIST의 총괄 책임자인 장영재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016년부터 협업지능 피지컬 AI 연구를 추진해 왔어요. '협업지능 기반 스마트 제조 혁신 기술'이 장영재 교수의 대표적인 성과죠.
KAIST는 이밖에도 지난 4월 세계 최대 산업공학 학회인 'INFORMS'에서 협업지능 피지컬 AI 사례연구로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와 아마존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해 피지컬 AI 기술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기도 했어요.

KAIST 총괄 책임자인 장영재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현재 글로벌 AI 산업은 언어지능을 모사하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이 주도하고 있지만, 피지컬 AI는 언어지능을 넘어 공간지능과 가상환경 학습까지 포함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은 제조 강국으로서 이러한 생태계 구축에 유리해 글로벌 경쟁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