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역사 속 오늘 - 7월 둘째주(디도스 공격 대란)

IT 역사 속 오늘 - 디도스 공격 대란 (AI로 이미지 생성)
IT 역사 속 오늘 - 디도스 공격 대란 (AI로 이미지 생성)

인터넷으로 뉴스도 보고, 게임도 하고, 쇼핑도 하는 오늘날,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빠르고 편리하게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그런데 만약 갑자기 인터넷 뱅킹이 멈추고, 주요 정부 사이트나 포털이 접속되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그런 일이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적이 있어요. 바로 2009년 7월 7일,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디도스 공격 대란입니다.

디도스(DDoS)란 무엇일까요?

디도스(DDoS)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의 줄임말이에요. 쉽게 말해 수많은 컴퓨터를 이용해 한꺼번에 특정 사이트에 접속 요청을 보내서, 서버가 마비되도록 만드는 공격 방식이에요. 마치 수천 명이 동시에 문을 두드려서 안에 있는 사람이 아무 일도 못 하게 되는 상황과 비슷하죠.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2009년 7월 7일부터 며칠 동안, 청와대, 국회, 국방부, 주요 은행, 포털 사이트 등 한국의 주요 웹사이트들이 집중적인 디도스 공격을 받았습니다. 심지어 미국 백악관, 국방부 같은 해외 기관 사이트들도 함께 공격당했어요. 이 공격으로 인해 사이트 접속이 되지 않거나 매우 느려졌고, 시민들은 온라인 뱅킹이나 민원 처리 같은 일을 할 수 없게 되었어요.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이번 공격은 단순히 해커 한 명이 한 것이 아니라, 악성코드에 감염된 수만 대의 좀비 PC가 한꺼번에 움직이면서 이루어진 것이었어요. 이 컴퓨터들은 평범한 사람들이 쓰던 것이었지만,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감염되어 해커의 명령을 따르게 되었답니다.

왜 중요한 사건이었을까요?

이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인터넷에 의존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이버 보안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주는 계기가 되었어요. 이전까지는 인터넷 보안 문제가 주로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다뤄졌지만, 이 사건을 통해 정부, 기업, 일반 사용자 모두가 보안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죠.

이후 한국 정부는 사이버 위기 경보 체계를 만들고, 디도스 대응 시스템을 강화했어요. 기업들도 보안 시스템을 개선하고, 일반 사용자에게 백신 설치와 보안 점검을 적극 권장하게 되었답니다.

지금은 어떤가요?

지금은 디도스 공격에 대한 방어 기술이 훨씬 더 발전했지만, 여전히 사이버 공격은 계속되고 있어요. 그래서 우리도 보안 프로그램을 자주 업데이트하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파일은 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요. IT 기술이 발전할수록, 그만큼 보안을 지키는 기술과 습관도 함께 성장해야 하니까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