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스마트폰으로 논물 관리한다…경남농업기술원, '스마트 물꼬' 개발

스마트 물꼬. 아래쪽이 수위 측정 센서, 위쪽이 컨트롤 박스. / 경남도청
스마트 물꼬. 아래쪽이 수위 측정 센서, 위쪽이 컨트롤 박스. / 경남도청

농민들이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논물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어요.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2년간의 연구 끝에 논물을 대거나 빼는 작업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물꼬'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어요.

벼는 재배 과정에서 많은 물이 필요해요. 품질 좋은 쌀을 생산하려면 물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미죠.

하지만, 시골 농촌은 일손이 부족하고 나이 든 농민이 많아, 물을 제때 넣고 빼는 일이 쉽지 않아요. 최근에는 폭우와 가뭄이 잦아지면서 물관리의 중요성이 더 커졌죠.

경남 농업기술원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농민이 논에 가지 않고도 스마트폰으로 논 물꼬를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했어요.

센서가 논의 수위를 자동으로 재고, 컨트롤 박스가 그 정보를 농민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요.

농민은 스마트폰으로 논 수위를 파악한 후, 원격으로 컨트롤 박스에 물꼬를 열거나 닫으라고 명령해 논물을 관리할 수 있답니다.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