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의 꿀벌응애 검출 장치를 개발했어요.
이 장치의 이름은 '비전(BeeSion)'이에요.
꿀벌응애는 꿀벌에게 붙는 작은 진드기 종류예요. 꿀벌 마을에 들어가 질병을 전파해 꿀벌 식구들을 죽게 만드는 해충이죠.
농진청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선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했는데, 꿀벌응애 감염과 그로 인한 바이러스 확산이 주요 원인이라고 해요.
벌집 안에서 사는 꿀벌응애는 크기가 작아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려워요.
특히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관찰과 방제가 더욱 어려워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쉬워요.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하나 점검하려면 30분 넘게 걸린다고 해요.

농진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 분석 기술,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활용해 벌집판을 촬영하면 30초 안에 응애를 찾아낼 수 있는 검출 장치를 개발했어요.
이 장치는 응애 외에도 백묵병 등 질병 감염 꿀벌이나 날개 기형 꿀벌, 애벌레 이상 등 16가지 병해충 및 생육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어요. 비전의 응애 분석 정확도는 97.8% 수준이라고 해요.
현재 농진청은 비전에 대한 특허 출원을 마친 상태예요. 올해 비전을 공장에서 만들기 시작해 현장에서 장비가 잘 작동하는지 시험한 후, 2028년부터 전국 양봉농가에 본격적으로 보급할 계획이에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