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정부는 AI 컴퓨팅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올해 안에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 장을 도입해서 '국가 AI 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빨리 시작하려고 해요. 그리고 내년 상반기까지는 엔비디아 H100, H200 같은 고성능 AI 반도체 8천 장을 추가로 들여와서 슈퍼컴퓨터 6호기를 만들 계획이에요.
정부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제3차 AI 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에서 이런 계획을 발표했어요. 미국과 프랑스 같은 나라들도 AI 컴퓨팅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보유한 고성능 GPU는 2023년 기준으로 약 2천 장 정도밖에 되지 않아서 많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정부는 기술과 시장 상황이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AI 컴퓨팅 인프라에 얼마나 투자해야 할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어요. 그래서 AI 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에서 상황을 자주 점검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에요.
이날 회의에는 최상목 대행과 김병환 금융위원장,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김성태 중소기업은행장, 허성욱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 등 정부 측 인사들이 참석했어요. 민간에서는 박종배 건국대 교수, 안정호·이준만 서울대 교수, 박경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김정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등이 참석했고,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와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발표를 통해 정책 제언을 했어요.
김성훈 대표는 '범용인공지능(AGI) 강국으로 가는 길'을 주제로 인재와 GPU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필요한 정책 지원 방안에 대해 발표했어요. 배경훈 원장은 '최신 AI 기술 동향 및 한국형 AI 발전 방향'을 주제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개발이 가능한 추론 강화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이 방법을 사용해 개발한 AI 모델 '엑사원'에 대해 발표했어요.
특별위원회에서는 GPU 조기 확보 계획과 함께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 AI 컴퓨팅 센터'의 입지, 전력, 정책금융 프로그램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어요. 최상목 대행은 “최근 AI 산업 패권 경쟁이 뜨거워지면서 기업 간 대결을 넘어 국가가 전면에 나서는 혁신 생태계 간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며 “과거 광대역 통신망을 구축해 우리나라가 IT 강국으로 부상했듯 AI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그는 올해 11월 개소 예정인 AI 컴퓨팅 센터 구축과 관련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모색하고 전력 수급 문제도 사전에 면밀히 짚어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어요.
이렇게 정부는 AI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어요. 앞으로 우리나라가 AI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려요!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