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중국에서 만들어진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과하게 모으고 있다는 이유로 많은 나라에서 사용이 금지됐어요.
한국에서도 정부와 기관들은 딥시크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막았고, 결국 딥시크는 한국에서의 새로운 다운로드를 멈췄어요.
딥시크가 이용자 데이터를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전송한 사실도 확인되었다고 해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르면 이용자 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될 경우 반드시 명확한 고지와 사전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이를 지키지 않은 것입니다.
한편,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도 정보 유출 문제로 논란이 있었어요. 특히 미국에서는 틱톡이 사용자 정보를 중국 정부에 보내고 있다는 의심이 있었고, 이로 인해 미국 정부는 틱톡을 규제하려고 했어요. 틱톡은 사용자 정보를 미국 기업인 오라클의 서버에 저장해서 보호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여전히 정보 유출의 위험이 남아있다고 해요.
또한, 중국산 통신 장비나 전자제품에서도 정보 보안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중국 화웨이의 통신 장비는 미국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고, 이로 인해 많은 나라들이 화웨이 장비의 사용을 금지했어요. 최근에는 중국산 사물 인터넷 제품도 해킹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이렇게 중국 기업들의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정보 보안 문제가 계속해서 발생하면서, 사람들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어요.
하루 빨리 중국 기업의 정보보안 문제가 해결돼 마음 놓고 이용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