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일본은 AI 스타트업 키우는데, 한국은?

AI. (게티이미지뱅크 자료)
AI. (게티이미지뱅크 자료)

프랑스와 일본은 AI 분야의 대표적인 스타트업을 적극적으로 키우고 있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실질적인 대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답니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달 9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AI 행동 정상회의'를 앞두고, 프랑스 AI 기업 미스트랄AI가 개발한 챗봇 '르 샤(Le Chat)'를 프랑스 국민들에게 직접 다운로드 받으라고 권유했어요. 미스트랄AI는 설립된 지 1년 만에 10억 유로 이상의 투자를 받았고, 기업가치도 60억 유로에 이르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AI 기업이에요.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산과 미국산 두 가지 기술이 있을 때 유럽산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그래서인지 르 샤는 출시 14일 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넘었다고 해요. 프랑스 정부는 AI에 대한 규제가 스타트업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유럽연합의 AI 법 협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요. 마크롱 대통령도 여러 차례 AI 기업에 대한 규제가 너무 엄격하다는 문제를 제기했어요.

일본의 AI 기업 사카나 AI도 일본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창업 1년 만에 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했어요. 일본 정부는 AI 기술 개발에 필요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스타트업에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어요. 특히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를 통해 최신 GPU가 탑재된 슈퍼컴퓨터 클러스터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생성형 AI 개발 지원 프로그램(GENIAC)'을 운영하고 있어요. 사카나 AI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3~6개월 동안 슈퍼컴퓨터 클러스터를 활용해 대규모 AI 모델을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답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의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와 일본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AI 국가 경쟁력 부문에서 2군으로 분류된 국가에요. 프랑스와 일본은 각각 유럽 내 규제 완화와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제공 등을 통해 국가 차원의 지원을 AI 기업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죠.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AI 유니콘 기업이 없어요. 정부는 최근 국가대표 정예팀을 만들어 챗GPT를 능가할 거대언어모델(LLM)을 만들자고 발표했지만, 아직 실질적인 AI 기업 실태조사 데이터만 있을 뿐이에요. AI 모델 개발 현황이나 기업 경쟁력을 파악할 정확한 데이터는 부족하답니다.

국내에도 AI 모델을 개발하는 기업이 있지만, 이를 테크리포트 등으로 공유하는 기업은 10여 곳 정도로 적고,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요. 가능성 있는 국내 기업을 선정하는 절차에도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어요.

업계 관계자는 “AI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초기 대규모 투자나 공공 부문 활용 기회가 여전히 부족하다”며 “기업 차원에서도 AI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테크리포트 문화를 활성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어요.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프랑스·일본은 AI 스타트업 키우는데, 한국은?
프랑스·일본은 AI 스타트업 키우는데, 한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