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등학생 6명 중 1명꼴로 비만이고, 비만한 학생의 절반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1개 이상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연구원의 '아동·청소년 비만 예방 의료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건강검진, 학생건강검진 표본조사 원시자료, 학교 밖 청소년 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아동·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은 영유아 8.3%, 학생 16.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영유아가 12명 중 1명, 초중고 학생이 6명 중 1명꼴로 비만이라는 뜻입니다. 과체중 또는 비만 유병률은 영유아 17.7%, 학생 27.3%로 집계되었습니다.
연구팀은 비만 학생을 대상으로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보유 여부를 별도로 파악했습니다. 이 분석에는 학생건강검진에서 비만 학생에게만 실시하는 혈액검사 결과를 활용했습니다.
그 결과 2023년 기준 비만 학생의 16.4%는 고혈압 전 단계, 6.5%는 고혈압으로 의심되었고, 비만 학생의 20.2%는 당뇨병 전 단계, 1.1%는 당뇨병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이상지질혈증 진단 기준에서 총 콜레스테롤이 경계 수준인 비만 학생은 33.3%, 위험 수준인 비만 학생은 15.9%로 의심되었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위험 범위에 있는 비만 학생은 39.1%였습니다.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1개 이상 보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비만 학생은 50.5%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처럼 소아·청소년 시기에도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의료계는 조언합니다.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류인혁 교수는 “비만한 아이들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다양한 합병증 위험이 커지며, 최근에는 이런 질환이 성인이 되기 전인 청소년기부터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류 교수는 “소아·청소년 비만의 경우 합병증을 동반하더라도 약물 치료를 우선해서는 안 되며, 무리하게 체중을 줄이기보다는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올바르게 개선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모두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유지하여 비만과 그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