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여러분에게 '배리어 프리'라는 용어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배리어 프리란 무엇인가요?
'배리어 프리(Barrier Free)'란 장애인이나 노인,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들이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물리적, 제도적 장벽을 제거해 누구나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말해요. 이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필요해요.
1. 물리적 장벽 제거: 건물이나 시설물에 계단이나 턱 등을 없애고 경사로나 엘리베이터 등을 설치해 이동을 쉽게 합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거나, 학교에 장애인 전용 화장실을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2. 정보 접근성 향상: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 등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장애인이나 노인 등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제공 등이 있습니다.
3. 제도적 지원: 정부나 지자체 등에서 배리어 프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합니다. 예를 들어, 공공시설물에 대한 배리어 프리 인증제를 도입하거나,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 있습니다.
◇배리어 프리의 중요성
배리어 프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단순히 장애인이나 노인,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사회를 만드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사회적 통합: 장애인이나 노인 등도 자신의 능력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사회적 통합을 촉진합니다.
-경제적 효과: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여 경제성장에 기여합니다.
-삶의 질 향상: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상 속 배리어프리
우리 일상 속에서도 배리어 프리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많습니다.
-건물이나 시설물 이용 시: 장애인이나 노인 등이 이용하기 편리한 시설물을 선택하고, 불편한 점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개선을 요청합니다.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 이용 시: 장애인이나 노인 등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사이트나 앱을 이용하고, 불편한 점이 있다면 해당 업체에 개선을 요청합니다. 키오스크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나 지자체의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기: 정부나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배리어 프리 환경 조성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합니다.
◇결론
배리어 프리는 우리 모두가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개념이에요. 우리 모두가 배리어 프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도 배리어 프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보세요!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