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과학 - 번개는 왜 지그재그로 치나요?

톡톡 과학 - 번개는 왜 지그재그로 치나요?

우선 번개가 무엇일까요?

먼저 번개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아요. 번개는 하늘에서 구름과 땅 사이, 또는 구름과 구름 사이에 전기가 빠르게 이동하는 현상을 말해요. 이 전기는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기와 비슷하지만, 훨씬 강력해요.

전기가 이동하는 길

전기는 공기 중에서 가장 저항이 적은(쉽게 갈 수 있는) 길을 찾아서 이동합니다. 이걸 이해하기 위해 물이 흐르는 모습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물은 가장 낮고 쉽게 갈 수 있는 길을 따라서 흐르지요? 전기도 비슷해요. 전기가 쉽게 갈 수 있는 길을 찾아서 이동하는 거랍니다.

공기 중의 장애물

하지만 공기 중에는 다양한 장애물이 있어요. 예를 들어 공기에는 수많은 입자들(먼지, 물방울 등)이 떠다니고 있어요. 그리고 공기의 밀도나 온도도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 이런 것들이 전기가 이동하는 길을 복잡하게 만든답니다.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이유

그래서 전기가 이동할 때, 한 방향으로 쭉 가는 대신에 가장 저항이 적은 길을 찾아서 조금씩 방향을 바꿔가며 이동하게 됩니다. 이렇게 여러 번 방향을 바꾸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우리가 번개를 볼 때 지그재그로 보이는 겁니다. 마치 미로를 찾아가는 것처럼 말이예요!

어떤 곳에서 자주 발생하나요?

번개는 주로 따뜻하고 습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해요. 이런 지역은 대기가 불안정해지기 쉬워서 구름 속에 전기가 많이 쌓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열대 지방이나 여름철의 더운 날씨가 있는 곳에서는 번개가 자주 발생해요. 또 산이나 높은 건물 같은 지형은 번개가 치기 좋은 조건을 만들어요. 높은 곳은 전기가 땅으로 이동하기 쉬운 경로를 제공해서 번개가 더 자주 치게 되는 거랍니다.

요약

△번개는 전기가 공기 중에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전기는 가장 저항이 적은 길을 찾아서 이동해요.

△공기 중에는 다양한 장애물이 있어서 전기가 한 방향으로 쭉 가지 못하고 지그재그로 이동해요.

자, 이제 번개가 왜 지그재그로 치는지 알 수 있겠지요? 번개를 볼 때마다 이런 과정을 생각해보면 더 재미있을 겁니다!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