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치는 그 자체로는 착하지도, 나쁘지도 않습니다. 부서진 의자를 고칠 수도 있지만, 누군가를 해치는 흉기가 될 수도 있죠. 누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답니다. 세계적인 로봇공학자 다니엘라 루스는 “로봇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합니다. 로봇은 도구일 뿐이며, 그것을 쓰는 사람이 중요하다는 뜻이지요.
'MIT 로봇 수업'은 미국 MIT 인공지능연구소(CSAIL)를 이끄는 다니엘라 루스 소장이 쓴 책입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로봇의 정확한 정의부터 시작해 로봇이 앞으로 어떤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는지 흥미롭게 풀어냅니다.
저자에 따르면 로봇이란 단순한 기계가 아닙니다. '지능형 기계', 다시 말해 주변 상황을 감지하고, 정보를 분석해 스스로 움직이는 기계가 바로 로봇이라는 것이죠. 자명종은 그냥 알람을 울리는 기계이지만, 누가 자고 있는지를 알아차리고 자동으로 작동한다면 그것은 '자명종 로봇'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책에서 저자는 로봇을 특별한 존재로 생각하지 말고, 인간을 돕는 유용한 도구로 봐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로봇은 인간의 힘과 지능을 대신해줄 수 있지만, 여전히 사람의 명령과 설정에 따라 움직이는 '보조자'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로봇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고 해도 아직 갈 길은 멉니다. 아주 정밀한 로봇 손을 만들었다 해도 그것을 똑똑하게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의 뇌'가 부족하면 무용지물입니다. 자연스러운 말로 로봇과 대화하는 기술, 강하고 유연한 인공 근육 같은 것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로봇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규칙과 기준입니다. 저자는 로봇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나오기 전에, 의약품을 심사하는 기관처럼 로봇을 미리 평가하고 승인하는 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MIT 로봇 수업'은 로봇이 단지 영화 속 미래가 아니라 지금 우리가 함께 고민하고 준비해야 할 현실임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로봇과 기술에 관심이 많은 친구들, 또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은 독자라면 꼭 한 번 읽어보세요.
다니엘라 루스 지음, 김영사 펴냄, 2만3000원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