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업계 최초! 드론 활용 디지털 트윈 구현

드론 플랫폼으로 제작된 '아크로 드 서초' 현장 전경 / DL이앤씨
드론 플랫폼으로 제작된 '아크로 드 서초' 현장 전경 / DL이앤씨

DL이앤씨가 드론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국내 건설업계 최초로 모든 주택 현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어요.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의 사물이나 공간을 가상 공간에 똑같이 구현하는 기술이에요. 건설 분야에 이 기술을 활용하면 실제 건설 현장을 3차원으로 재현해 공정 관리, 품질 검사, 설계, 분양, 유지보수 등 다양한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DL이앤씨는 이번 기술 도입을 위해 스마트건설 플랫폼 기업인 '메이사'와 협업했어요. 메이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3차원 매핑 엔진을 보유한 기업이에요. DL이앤씨는 이 회사와 함께 드론 플랫폼을 개발하고, 드론으로 현장을 주기적으로 촬영해 정밀 분석하면서 디지털 트윈을 구현했다고 해요.

이 플랫폼을 이용하면 시공 현장의 진행 상황을 3D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도면과 실제 시공 상태를 비교해 시공의 정확도도 높일 수 있어요.

또한, 토공량(흙의 양) 산출도 훨씬 정밀해졌어요. 예전에는 트럭 이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흙의 양을 추정해 오차가 발생했지만, 드론 촬영을 통해 더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됐어요.

현재 이 드론 플랫폼은 DL이앤씨의 모든 주택 현장과 일부 도로·철도 같은 토목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앞으로는 인공지능(AI) 기술까지 더해져 시스템이 더욱 정교해질 예정이에요.

DL이앤씨 관계자는 “드론 플랫폼을 통해 품질과 안전은 물론 생산성까지 높일 수 있다”며, “드론과 AI, 그리고 건설정보모델링(BIM) 같은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건설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어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