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28일부터 '경기기후플랫폼' 서비스를 본격 운영하기 시작했어요.
경기기후플랫폼은 위성 영상, 항공 LiDAR(라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같은 기술을 이용해 기후와 환경, 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분석해요. 쉽게 말해, 경기도의 기후와 환경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정보 시스템이에요.
이 플랫폼에서는 ▲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 광역 도시생태현황지도 ▲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등 공간정보 ▲ 기후재난 현황 및 위험지역 예측 ▲ 중소기업 기후경영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어요.
이 정보들은 개인과 공공기관, 기업이 각각의 용도에 맞게 활용할 수 있어요.
개인은 사는 지역이나 여행지의 산사태나 폭우 위험도를 미리 확인할 수 있고, 폭염 대피소도 찾아볼 수 있어 재난에 대비할 수 있어요.
공공기관은 탄소흡수·배출 관리 정보를 이용하면 탄소중립 정책을 세우는 데 쓸 수 있어요.
기업은 플랫폼에 접속만 하면 국제 기준에 맞는 탄소 회계나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어요.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경기기후플랫폼은 앞으로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 종합진단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어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