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배추김치 역사 300년이나 앞당긴 새 연구결과 나와

'산림경제' 수록 자료 중 머휘(머위) 기록.
'산림경제' 수록 자료 중 머휘(머위) 기록.

우리 민족의 대표 음식인 배추김치가 기존보다 300년이나 앞선 15세기 중엽부터 등장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어요.

세계김치연구소 박채린 연구팀이 배추김치의 기원이 기존 학계의 인식보다 약 300년 앞선 15세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발표했어요. 세계김치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예요.

그동안 학계에서는 1766년 홍만선이 저술한 '증보산림경제'의 기록을 근거로 배추김치 기원을 그 즈음으로 해석해왔어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1450년께 간행된 조리서 '산가요록'에 기록된 '백채(白菜) 물김치' 조리법이 현전(現傳)하는 가장 오래된 배추김치 관련 기록임을 새롭게 규명했어요. 우리나라 배추김치 역사가 기존 학설보다 약 300년 앞당겨진 거죠.

배추김치가 18세기 이후에 등장했다는 기존의 오해는 1716년 발간된 '산림경제'에서 비롯됐다고 해요. 저자 홍만선이 중국 농서 '신은지'와 조선 농서 '한정록'의 내용을 인용하는 과정에서 '백채'를 '머휘(머위)'로 잘못 표기한 것이 원인이었죠. 이러한 오류가 이후 학계의 검증 없이 계속 인용되면서 정착된 것이죠.

14세기 중반 원나라 승려 고영이 그린 배추 그림.
14세기 중반 원나라 승려 고영이 그린 배추 그림.

박채린 책임연구원은 “중국의 고문헌과 조선시대의 농서 및 음식서, 어학서 등을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 홍만선의 오류를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었다”며 “산가요록을 비롯한 조선 전기의 주요 문헌에 등장하는 '백채'가 머위가 아니라 배추임을 사료적·조리학적·식물학적 근거로 입증했다”고 말했어요.

이어 “배추가 조선 전기, 더 나아가 고려 말기부터 한반도에 유입되어 귀한 식재료로 널리 자리 잡았고 이를 활용한 김치 제조법이 이미 널리 보급되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혔다”고 덧붙였어요.

이번 연구 결과는 오랜 기간 지속된 문헌 해석의 오류를 바로잡아 민족의 대표 음식인 배추김치의 역사를 새롭게 정립했다는 점에서 학계로부터 큰 의미와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요. 연구성과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펴내는 학술지 '한국문화' 110호에 실려있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