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첨단산업 분야 인재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연구·주거 지원을 통해 '이공계 전성시대'를 만들겠다고 선언했어요.
기존 이공계 학생 대상 장학금을 두 배로 늘리고, 공유주택·공공기숙사 등을 활용해 주거 공간도 제공할 거예요. 과학인에 대한 존경과 예우를 회복하기 위한 상도 새롭게 제정한다는군요.
오세훈 서울시장은 25일 고려대 미래융합기술관에서 열린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며 이같은 비전과 정책 방향을 공개했어요.
학비·연구비·주거비 부담을 없애고(3NO),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높이는(1YES) 환경을 구축해 '의대 쏠림'으로 흔들리는 과학·공학 인재 공급 구조를 반도체·인공지능(AI)·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게 핵심이예요.
오세훈 시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이제, 부와 권력은 더 이상 땅이나 자본에서 나오지 않는다”며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술력, 그 기술을 창조해내는 이공계 인재로부터 나온다”고 강조했어요. 이어, 그는 “인재가 떠나는 순간, 대한민국의 미래도 잃게 된다”고 지적했어요.
서울시는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연구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이공계 미래동행 장학금'을 신설해요. 기존 석사·박사 과정 중심 지원을 박사 후 과정까지 넓히고, 연 지원 금액을 석사 2000만원·박사 4000만원·박사 후 과정 6000만원으로 규모를 확대한다고 해요.
'서울 라이즈 텐(RISE 10) 챌린지' 추진을 통해 최장 10년간 안정적 연구비를 지원, 단기 성과 압박에서 벗어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적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어요.
아울러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유주택·공공기숙사 등을 활용한 이공계 인재 성장주택을 공급하는 방안도 세우고 있어요.
'서울과학인의 상'을 제정해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낸 과학자를 직접 시상하고, 국제학술대회나 CES 같은 국제무대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예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