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학생 학업성취도 우열, '호기심'이 갈랐다”

PISA 홈페이지 캡처
PISA 홈페이지 캡처
교육개발원 ‘2022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분석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서 역량은 '호기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한국 내 상위 집단은 하위 집단보다 특히 호기심 점수에서 월등히 앞섰습니다.

PISA를 주관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호기심, 끈기, 정서 조절, 스트레스 저항력 등을 학업 성취에 영향을 주는 사회·정서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15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에 따르면 이주연 부연구위원은 2022년 PISA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 약 5600명의 사회·정서 역량을 분석해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2025 교육개발 봄호'에 실었습니다.

PISA는 전 세계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3년마다 시행되는 평가로, 학생들이 사회·경제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지식과 기술을 얼마나 습득했는지 보여줍니다. 2025년 조사는 현재 진행 중이며 결과는 내년 공개됩니다.

PISA는 2022년 당시 각국 학생의 사회·정서 역량을 과학, 수학, 읽기, 창의적 사고 등 4개 과목별로 측정했습니다.

이 부연구위원이 PISA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학업성취 수준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특히 '호기심'에서 높은 점수를 땄습니다.

과목별 호기심 점수(-1점∼1점)를 보면 과학이 상위(0.52점)와 하위(-0.26점) 격차가 0.78점으로 가장 컸습니다. 이어 수학(0.66점), 읽기(0.61점), 창의적 사고(0.56점) 순이었습니다.

'호기심'만큼의 격차는 아니지만 '끈기'에서도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전 과목에서 점수가 높았습니다. '정서 조절'에선 과학과 수학을 제외하곤 상·하위 집단 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반면, '스트레스 저항력'에서는 과학과 수학을 빼면 오히려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이 부연구위원은 한국 학생의 사회·정서 역량을 OECD 국가 평균과 비교한 결과, '정서 조절' 점수가 유독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정서 조절' 점수는 0.18점으로 OECD 평균(-0.01점)보다 0.19점 높았습니다. '호기심'은 0.03점, '스트레스 저항력'은 0.01점 높았고, '끈기'에선 0.05점 낮았습니다.

이 부연구위원은 “사회·정서 역량이 높은 학생은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고, 감정 조절과 협력적 태도를 통해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며 “아울러 성공적인 학습과 삶을 영위하는 데도 필수적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최지호 기자 jho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