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숭아는 맛과 모양, 털의 유무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품종이 아주 많아요. 실제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복숭아 품종만 해도 200종이 넘는답니다.
그런데 이런 품종을 새로 개발하려면, 수천 그루의 나무를 심고 15년 넘게 돌봐야 해서 아주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요.
그래서 농촌진흥청이 복숭아 품종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디지털 육종' 기술을 도입한다고 밝혔어요.
디지털 육종은 생명공학에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품종 개발 방법이에요. 나무를 다 자랄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DNA를 분석해 어떤 특징이 나올지 미리 알 수 있는 앞선 기술이죠.
농진청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보관 중이던 복숭아 유전자 445종의 유전체 정보를 해독했어요. 이 과정에서 94만4천670개의 유전 정보를 확보했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복숭아 150종을 선별했어요. 이 복숭아들은 앞으로 품종 연구에 꼭 필요한 핵심 자료가 될 거예요.
또한 연구진은 복숭아의 모양과 털 유무를 구분할 수 있는 '분자 표지'도 개발했어요. 분자 표지는 식물의 유전 정보를 분석해서 특징을 미리 알아낼 수 있는 일종의 표시예요. 이 기술을 활용하면, 복숭아가 열매를 맺기 전인 아주 어린 나무 상태에서도 어떤 열매가 나올지 미리 알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예전에는 납작 복숭아를 찾기 위해 나무 1,000그루를 심고 3~4년 동안 키워야 했지만, 이제는 어린 시절부터 유전 정보를 보고 납작 복숭아가 나올 나무 500그루만 골라서 심을 수 있어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겠죠?
농진청은 이미 복숭아 모양을 구별하는 기술에 대해 특허 출원을 마쳤고, 털 유무를 판단하는 기술도 특허를 준비하고 있어요.
김명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은 “디지털 육종 기술 덕분에 우리나라의 복숭아 품종 개발 방식이 더 효율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복숭아 품종이 개발돼 개성 있는 품종이 늘어나면 농부와 소비자 모두 더 폭넓은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