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청, AI로 미래 인재 키운다”

부산시교육청 전경 / 부산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 전경 / 부산시교육청

부산에서는 앞으로 학교에서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이 펼쳐질 예정이에요.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10일 AI·디지털 교육을 통해 미래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어요.

가장 눈에 띄는 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새로운 수업 방식이에요. AI에게 어떤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지기 때문에, 학생들이 스스로 좋은 질문을 만들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수업이죠.

또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학교 수업에 단계적으로 생성형 AI를 도입해서, 학생 한 명 한 명의 학습을 도와주고 선생님이 수업을 계획하거나 평가하는 데도 AI가 함께하게 될 거예요.

진로와 진학도 AI가 도와줄 예정이에요. 학생이 어떤 과목을 잘하는지, 어떤 학교를 원하는지를 AI가 분석해서 알맞은 입시 전략을 짜주는 시스템이 생기는 거예요. 면접 연습이나 수시·정시 대비 전략도 AI가 도와준대요!

이를 위해 부산시교육청은 '진학 PEN AI'라는 데이터를 올해 상반기까지 업데이트했고, 7월부터는 학교 현장에서 AI 진학 시뮬레이터와 모의 면접 프로그램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에요.

뿐만 아니라, 중·고등학교 5곳을 'AI·빅데이터 융합 교육 중심학교'로 지정해서, 2026년부터는 본격적으로 AI와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할 예정이에요.

'SW·AI교육거점센터' 그라운드D / 부산시교육청
'SW·AI교육거점센터' 그라운드D / 부산시교육청

부산 'SW·AI교육거점센터'도 더 많은 학생과 시민이 이용할 수 있게 기능을 넓히고 있어요.

로봇을 활용한 체험 수업, 음성인식, 양자컴퓨터 같은 최신 기술을 배울 수 있는 특별 강의도 준비 중이에요.

AI 시대에 꼭 필요한 디지털 윤리, AI 활용 능력, 미디어를 제대로 읽는 힘도 함께 기르게 될 거예요.

김 교육감은 “AI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는 단순한 지식보다 스스로 생각하고 질문하는 힘이 더욱 중요하다”며, “앞으로는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을 확대해, 학생들이 미래를 이끄는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부산만의 디지털 교육혁신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어요.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