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보이던 은하들이 '우르르'…우주 진화 비밀 밝혀질까?

암흑은하 후보 A215217의 가시광 컬러 영상(왼쪽)과 중성수소 관측을 통해 얻은 스펙트럼(오른쪽) / 서울대
암흑은하 후보 A215217의 가시광 컬러 영상(왼쪽)과 중성수소 관측을 통해 얻은 스펙트럼(오른쪽) / 서울대

우주의 신비한 존재, '암흑 은하'가 무더기로 발견됐다는 소식이에요.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연구팀이 미국 과학자들과 함께 암흑 은하 후보 142개를 발견했다고 22일 발표했답니다.

'암흑 은하'는 별이 거의 없는 특별한 은하예요.

보통 은하는 암흑물질, 가스, 그리고 별로 이루어져 있어요.

별은 가스가 모여서 생기는데, 가스 밀도가 낮거나 온도가 너무 높으면 별이 만들어지지 않고, 별이 없는 은하가 되는 거죠.

암흑 은하는 '람다 차가운 암흑물질(ΛCDM)'이라는 우주 이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존재예요.

이 이론은 우주에 있는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이 우주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설명해주죠.

그동안 암흑 은하는 눈으로 직접 볼 수 없어서 지금까지는 10개 남짓만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에 무려 142개의 후보군이 발견되면서 연구가 훨씬 더 활발해질 거라고 해요.

이번 연구는 미국의 아레시보 전파망원경과 '암흑에너지 분광 장비(DESI)'를 이용해 우주 가스의 움직임을 분석해서 이 암흑 은하들을 찾아냈답니다.

연구팀은 발견한 은하들이 아직 이론에서 예상하는 수에는 못 미친다며, 앞으로 더 많은 암흑 은하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어요.

이번 연구 성과는 '천체물리학 저널 보충 시리즈(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라는 국제학술지에 실렸답니다.


최성훈 기자 csh87@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