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였다 떼면 전기가 찌릿!…UNIST, 전기신호 만드는 접착필름 개발

“붙였다 떼면 전기가 찌릿!”
절개 구조 활용해 출력 13배·접착력 35배 높여
도난방지 같은 산업안전 분야에 응용 가능
마찰 전기 필름 구조와 전기신호 크기, 접착 강도
마찰 전기 필름 구조와 전기신호 크기, 접착 강도

붙였다 떼는 동작만으로도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접착필름이 개발됐어요. 배터리 없이도 스스로 작동하거나 전구에 불을 켜 어둠을 밝힐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았어요.

정훈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접착력과 전기 출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마찰전기 발전 필름을 개발했어요.

마찰전기 발전은 두 물질이 접촉했다가 떨어질 때,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예요. 정 교수팀은 이 원리를 접착 필름에 접목했어요. 별도 전원장치 없이 붙였다 떼는 동작만으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한 것이죠.

이 필름에는 'ㄷ'자 형태의 절개 패턴이 새겨져 있어 기존 필름보다 접착력은 35배 이상, 전기 출력은 약 13배 더 강하다고 해요. 이 덕분에 손으로 눌렀다 떼거나, 물체에 살짝 붙였다 떼는 등 짧고 단순한 움직임만으로도 필름에서 강한 전기신호를 만들어져요.

연구팀은 실생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실험을 해봤어요. 필름을 문틈에 붙인 후 문이 열리는 순간 전기신호를 만들고, 이 신호를 활용해 경고음을 울리게 하는 실험에 성공했어요. 또 벽에 필름으로 붙인 액자가 떨어지면, 스마트폰으로 상황을 전송하는 시스템도 만들었어요.

정훈의 교수는 “접착 필름을 단순히 붙였다 떼는 도구가 아니라, 스스로 전기 신호를 만들어내는 스마트 센서로 전환한 기술”이라며 “배터리 없이도 감지와 신호 생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단순한 구조의 감지 시스템에 적합하고, 웨어러블 센서나 도난 방지 장치, 산업용 안전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

최정훈 기자 jh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