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쓰고 버려지는 폐배터리에는 '도시 광산'으로 불릴 만큼 니켈, 코발트, 망간과 같은 귀한 금속 자원이 포함돼 있지만, 여러 금속이 한 데 섞인 탓에 이를 분리해 쓰기 어려웠어요. 황산과 같은 강한 산성의 화학 추출제를 써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환경을 파괴하고 몸에
뉴스 레이더
더보기
-
UNIST, 폐배터리서 순도 99% 니켈·코발트 뽑아내는 기술 개발
-
대구과학관, '인공위성:우리별, 무궁화, 아리랑' '대구뿌리산업:경창산업의 도전' 특별전 동시 개최
국립대구과학관이 11월 1일부터 △인공위성 : 우리별, 무궁화, 아리랑 △대구뿌리산업 : 경창산업의 도전 특별전을 동시 개최하니 가족과 함께 과학산책 어떨까요? 내년 3월 2일까지 계속되니 느긋하게 다녀오셔도 됩니다. 인공위성 특별전은 국립대구과학관이 2024년 산업과
-
전자레인지 원리로 그린수소 전지 '뚝딱'…KAIST, 초고속 제조기술 개발
그린수소를 생산할 때 핵심기술인 '고체산화물 전해전지(SOEC)' 세라믹 분말 소결을 기존 6시간에서 10분으로 단축하고, 온도도 섭씨 1400도(℃)에서 1200℃로 낮추는 공정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어요. 전지를 제조할 때 필요한 에너지와 시간을 크게 줄여 친환경 수
-
한국형 인공태양 '케이스타' 올해 플라스마 실험 돌입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27일부터 한국형 인공태양 '케이스타(KSTAR)'의 2025년 플라스마 실험에 돌입했다고 밝혔습니다. 케이스타는 땅 위에서 태양과 같은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초전도 핵융합연구장치예요. 핵융합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고체·액체·
-
상온에서 꽁꽁 어는 새로운 얼음 찾았다…표준연, 세계 최초 '얼음21' 규명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 얼음은 섭씨 0도씨(℃) 이하에서 만들어지죠. 하지만 과학자들은 지난 120여년 동안 영하의 온도가 아닌 상황에서도 얼음이 얼 수 있음을 연구를 통해 증명해왔어요. 그 얼음 가지수가 무려 20가지나 됐죠. 그런데 이번에 우리나라 연구진이 지금
-
산업혁신할 선도기술 60개 뽑아 우리 기업에 이식한다…ETRI, 유망기술 정보 공개
-
경기도청 도담뜰에서 '과학문화페스타'…10월 31일~11월 1일
-
“로봇이 운영하는 우주정거장 만든다”…KAIST, 우주 연구센터 출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우주연구원이 24일 교내 학술문화관에서 '우주 서비스 및 제조 연구센터'(ISMRC)를 출범했습니다. ISMRC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도 기초연구사업에 선정된 대규모 중장기 프로젝트로, 앞으로 10년 동안 712억원이 투입돼요. 로봇
-
대전시-KAIST, 2027년까지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팹' 짓는다
-
'케데헌' 인형·게임 출시한다…넷플릭스, 마텔·해즈브로와 계약

